2014년 11월 24일 월요일

비주얼스튜디오 2013 웹 익스프레스(Visual Studio 2013 Web Express) 와 node.js를 사용한 개발 #1

비주얼스튜디오 2013 웹 익스프레스(Visual Studio 2013 Web Express) 와 node.js를 사용한 개발 #1
 조회 : 604
나의 폴더 > ASP.NET MVC | 2014-01-21 (Tue) 11:00 http://blog.dreamwiz.com/papasmf1/14019757

자바스크립트의 속도 혁명은 2008년 시작되었다. 2008 9월에 구글은 크롬 웹 브라우져를 발표하면서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C++로 개발해서 발표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기반으로 머신 코드를 생성하여 실행하므로 어떠한 자바스크립트 엔지보다 속도가 빨랐다.라이언 달은 CommonJS표준과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기반으로 node.js를 개발했다. Node.js는 브라우져가 아닌 서버 환경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고자 노력했던 결과물이다. 비주얼스튜디오 2013 웹 익스프레스(Visual Studio 2013 Web Express) node.js를 사용한 개발을 한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무료 개발툴과 오픈소스를 통해 웹서버측과 웹클라이언트측을 모두 개발한다면 재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 비주얼스튜디오가 더 익숙해서 위와 같이 무료로 제공되는 개발들을 다운로드 받았다. 



<!--[if !supportLists]--><!--[endif]-->http://nodejs.org/ 주소에서 설치본을 받는다. 5메가 정도의 파일을 받으면 된다.
   <!--[endif]-->도스창을 열어서 c:\program files\nodejs폴더로 이동한다. 여기에
Node node.basic.js파일을 실행하면 된다.
(node.basic.js)
console.log(‘hello world’);
   <!--[endif]-->이번에는 웹 서버를 만들어 본다.
(node.server.js파일로 저장한다.)
//모듈을 추출한다.
var http = require('http');

//웹 서버를 생성 및 실행한다.
http.createServer(function (request, response) {
        response.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
        response.end('<h1>Hello world</h1>');
}).listen(52273, function () {
        console.log('Server running at http://127.0.0.1:52273/');
});

node node.server.js로 실행해서 서비스 되는지 확인해 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요즘 새로운 과정을 기획하면서 react.js + next.js를 OpenAI API와 같이 사용하는 과정을 만들고 있습니다. ㅎㅎ

 오랜만에 웹 기술들을 공부하니 재미있네요. ㅎㅎ  쭉 파이썬 과정들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좀 더 범위를 넓혀서 아이폰 앱 개발과정 with ChatGPT,  웹 프로그래밍 with ChatGPT, AI시대의 AI어시스턴트 활용하기와 같은 글을 쓰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