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25일 수요일

자마린 구조에 대한 설명 #2

성능에 대한 이슈가 항상 있습니다. 아직 테스트중이긴 한데 웹기반이 아닌 네이티브 기반이여서 성능은 상당히 빠르게 앱이 생성됩니다. 


비주얼스튜디오 2015 커뮤니티 에디션과 같은 무료 툴을 통해서 상당히 다양한 템플릿들이 제공됩니다. 셋팅도 무지 쉽습니다. ^^ 원래는 맥에서 가상 윈도우를 실행해서 개발하는 구조였는데 최근에 자마린 폼즈 프리뷰가 나오면서 iOS에뮬레이터를 윈도우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언제 비주얼스튜디오에 이런 템플릿들이 들어왔는지 ㅋㅋ 놀랍네요. 


다양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앱을 만들어본 개발자들은 스토리보드에 익숙할 겁니다.  Main.Storyboard가 그대로 편집됩니다.


최근 버전에 아래와 같이 실행이 됩니다.


Xamarin.Forms를 테스트해 보니 UI도 공통단을 만들어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레이아웃에 대한 부분은 페춀드 책에 자세하게 설명이 나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요즘 새로운 과정을 기획하면서 react.js + next.js를 OpenAI API와 같이 사용하는 과정을 만들고 있습니다. ㅎㅎ

 오랜만에 웹 기술들을 공부하니 재미있네요. ㅎㅎ  쭉 파이썬 과정들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좀 더 범위를 넓혀서 아이폰 앱 개발과정 with ChatGPT,  웹 프로그래밍 with ChatGPT, AI시대의 AI어시스턴트 활용하기와 같은 글을 쓰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