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0월 7일 화요일

파이썬 기초 강좌 - 이번에는 튜플입니다.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리스트와는 달리 [] 대신 ()로 묶어서 표현하며 읽기 전용입니다. 제공되는 함수는 리스트에 비해 적지만 속도는 그만큼 빠르다.
아래의 데모는 파이썬 2.7이나 3.4에서 테스트된 코드입니다.

>>> t = (1, 2, 3)
>>> type(t)
<type 'tuple'>
>>> a, b = 1, 2
>>> print(a, b)
(1, 2)

>>> (a, b) = (1, 2)
>>> print(a, b)
(1, 2)

>>> a, b = 1, 2
>>> print(a, b)
(1, 2)

>>> a, b = b, a
>>> print(a,b)
(2, 1)



튜플을 연습할 수 있는 다른 데모입니다.
>>> t = (1,2,3)
>>> len(t)
3
>>> t[0]
1

>>> t[-1]
3

>>> t[0:2]
(1, 2)

>>> t[::2]
(1, 3)

>>> t + t + t
(1, 2, 3, 1, 2, 3, 1, 2, 3)

>>> t * 3
(1, 2, 3, 1, 2, 3, 1, 2, 3)


튜플이 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데모입니다.

>>> print 'id: %s, name: %s' % ('kim', 'kimjd')
id: kim, name: kimjd
>>> def calc(a,b):
           return a+b, a*b

>>> x,y = calc(5, 4)
>>> x
9

>>> y
20

>>> args = (4, 5)
>>> calc(*args)
(9, 20)

>>> d = {'one':1, 'two':2}
>>> d.items()
dict_items([('two', 2), ('one', 1)])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인재들의 ‘탈 공대’로 무너져가는 이공계 🤖한국 과학기술의 현주소ㅣ KBS 다큐 인사이트 - 인재전쟁 2부 의대에 미친 한국

  대부분의 내용들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들입니다. ㅎㅎ 공대가 인기가 있었던 것은 80년대와 90년대 였던 것 같습니다. IMF위기를 겪고 나서 지금처럼 의대로 방향이 바뀌었네요. 한국은 AI분야에서 보면 참으로 척박한 땅입니다. 거의 기술의...